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50x250
리뷰

각굴 석화 굴 먹는 법, 세척하는 , 찌는 법, 효능

반응형

각굴 석화 굴 먹는 법, 세척하는 법, 찌는 법, 효능

날씨가 추워지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거 같아서 몸 보양될 음식이 뭐가 있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요즘 먹기 딱 좋은 시기인 각굴 먹는 법과 효능은 어떤지 알아볼까 합니다.

각굴 먹는 법 각굴 세척하는 법

각굴이란

각굴이라고 하면 좀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석화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각굴은 껍질이 뿔처럼 단단한 굴이라는 의미이고 석화는 돌에 핀 꽃처럼 보인다고 해서 석화라고 합니다. 둘다 모두 양쪽 단단한 껍질이 있는 껍질을 까지 않은 굴과에 속한 연체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한쪽 껍질을 떼어낸 굴은 하프굴, 하프셀, 반각굴이라고 합니다. 한쪽을 떼어낸 반각굴은 드시기 편하지만 양쪽 껍데기가 있는 각굴이나 석화는 좀더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코스트코 커클랜드 냉동 야채 볶음 요리 방법

코스트코 커클랜드 냉동 야채 볶음 요리 방법 요즘 야채가 가격이 많이 올랐더라구요. 겨울이면 원래 조금 비싸지긴 하지만 너무 비싸다 보니 제가 좋아하는 야채 볶음을 하기가 망설여질 정도

pencilstore.tistory.com

 

각굴 석화 세척방법 그리고 먹는 방법, 보관 방법

1. 굴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만큼 짠맛이 있습니다. 짠걸 싫어하신다면 물에 연한 소금물에 30분 정도 담궈놨다가 드시면 좋은데요. 그러면 짠맛이 빠져서 보다 건강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굴은 최대한 빨리 드시는게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입니다. 

2. 겉에 이물질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솔로 싹싹 문질러서 이물질을 제가하는게 좋습니다. 아무리 속만 드신다고 해도 껍질을 깔때 이물질이 손에 묻어서 속에 있는 굴에도 묻더라구요. 껍질이 부셔져서 가루가 묻기도 하니까 솔로 빡빡 문질러서 부셔질 수 있는 부분을 미리 제거하면 드실 때 깔끔합니다.

각굴 석화 세척 방법

3. 찜기에 넣고 5분 ~ 8분정도 쪄줍니다. 양에 따라서 다릅니다. 너무 오래 찌면 굴이 쪼글아 들고 질겨져서 풍미를 느낄 수 없습니다. 제가 해본 바로는 찜기에서 김이 나오면서 굴향이 팍 퍼지면 된겁니다. 그리고 윗쪽에 있는 굴은 탱탱한데 아랫쪽에 있는 굴은 열기를 많이 받기에 쪼글아들어 있어요. 너무 많은 양을 한번에 찌는거 보다 반으로 나눠서 쪄드시면 보다 맛있게 드실 수 있습니다. 

각굴 석화 찌는 방법

4. 그냥 먹어도 좋고 초고추장과 드셔도 맛있습니다. 익으면 입이 저절로 벌어지기도 하지만 안벌려지는 것도 있습니다. 살짝 틈이 생긴 곳을 공략해서 손으로 벌리거나 젓가락 등으로 벌리면 쉽게 열립니다.

각굴 석화 먹는 방법

5. 그리고 각굴 석화 껍데기는 일반쓰레기 입니다. 음식물쓰레기로 버리지 마세요.

각굴 껍데기 석화 껍데기 버리는 방법

6. 굴 보관은 구입 후 바로 드신거라면 냉장보관하시면 됩니다. 오래 보관하시려면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 후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시고 한번 드실 만큼 소분해서 나누어 담습니다.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밀봉하고 냉동보관 하시면 6개월 정도 까지는 보관이 가능합니다. 저도 냉동해놓고 매생이굴죽을 끓여먹으면 맛있더라구요.

 

각굴 석화 효능

우선 각굴이나 석화 등 모든 굴은 노로바이러스가 있습니다. 아무리 신선해도 말이죠. 체취한지 시간이 지났다면 꼭 익혀서 드시길 바랍니다. 저도 예전에 생굴을 먹고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기운이 정말 하나도 없어서 앉아 있기도 힘들더라구요. 그렇지만 굴은 정말 영양덩어리 입니다. 

각굴에는 철분이 풍부해서 빈혈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노인분들이나 여성들이 어지러운 증상이 있을 때 철분 흡수율이 높은 굴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연이나 셀레늄, 비타민C도 풍부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E도 풍부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데 좋습니다. 굴을 바다의 우유라고도 합니다. 그만큼 영양이 풍부하다는 얘기인데요. 오메가3와 DHA가 풍부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 심혈관을 튼튼하게 합니다. 또한 칼슘과 마그네슘이 혈압을 낮춰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줍니다. 

 

 

반응형